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지자체 청년 활동지원금 총정리

by 데이지__ 2025. 5. 19.

2025 지자체 청년 활동지원금 총정리

알아야 받는다, 최대 월 50만 원 청년활동비 지원 정책


💡 청년활동지원금이란?

청년활동지원금은
만 18세~34세 청년에게 일정 요건을 충족할 경우
매달 일정 금액을 현금 또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하는 지자체 지원사업이야.

대부분은 취업준비, 진로 탐색, 자기계발 활동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설계돼 있고,
청년활동지원카드(포인트)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 제공돼.

일부 지자체는 계좌이체 형태 현금 지급도 가능


주요 지자체별 청년 활동지원금 예시 (2025년 기준)


1. 서울시 '청년수당'

  • 대상: 서울 거주 만 19~34세 미취업 청년 (소득·재산 기준 있음)
  • 지원금: 월 50만 원씩 6개월간 최대 300만 원
  • 조건: 일정 기간 이상 미취업 상태 + 구직활동계획서 제출
  • 지급 형태: 청년수당카드 (선불형 체크카드)
  • 용도 제한: 주류·유흥 등 일부 업종 결제 제한

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대상: 경기도 내 3년 이상 거주 또는 합산 10년 이상 청년 (만 24세)
  • 지원금: 분기별 25만 원, 연간 총 100만 원
  • 지급 형태: 지역화폐 또는 모바일 카드
  • 용도 제한: 관내 소비처에서만 사용 가능

3. 부산 '청년희망카드'

  • 대상: 부산 거주 만 18~34세 청년 구직자
  • 지원금: 월 30만 원, 최대 6개월 지급 (180만 원)
  • 특징: 취업 성공 시 성과금 추가 지급

4. 대구 '청년내일학교'

  • 대상: 대구 거주 미취업 청년 (진로 탐색 중인 경우 포함)
  • 지원금: 교육 이수 및 활동 보고 시 최대 100만 원 지급
  • 구성: 진로탐색 교육 + 커뮤니티 활동비 + 네트워킹 프로그램 포함

5. 그 외 지역

지역제도명금액/특징
인천 청년월세지원 + 활동지원 결합형 최대 10개월간 월 20만 원
충북 청년희망지원금 1회 50만 원 일시 지급
전남 청년문화카드 연간 20만 원 (문화소비용)
제주 청년활력지원금 월 30만 원 × 4개월 + 역량강화 프로그램 연계
 

지원 항목 예시 (활용 가능 분야)

  • 도서 구매, 학원 수강료, 시험 응시료, 교통비
  • 면접 의상, 자기계발 강의
  • 지역 내 음식점, 서점, 문화시설 등

※ 지자체별 용도 제한 상이하므로 카드 사용처 반드시 확인


신청 방법

  1. 지자체 홈페이지 공고 확인 (청년정책과/청년센터)
  2. 온라인 신청서 제출 + 자격 조건 확인
  3. 활동계획서 또는 간단한 자기소개서 제출 필요
  4. 선발 후 활동 모니터링 or 온라인 교육 병행

유의사항

  • 중복지원 불가: 기초생활수급자, 고용부 청년내일채움공제 수혜자 등은 제외될 수 있음
  •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 활동 미이행 시 지급 중단 또는 환수 가능
  • 지역 외 사용 불가한 경우 많음

요약 정리

항목내용
대상 만 18~34세 청년 (거주지 기준 적용)
지원금 월 30만~50만 원, 최대 6개월~1년
형태 선불카드, 지역화폐, 계좌이체 등 다양
신청처 지자체 홈페이지, 청년포털, 복지포털 등
용도 취업준비, 교육, 도서, 교통, 문화소비 등
 

마무리 한마디

지원제도는 복잡해 보여도,
내 지역만 확인하면 바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활동지원금은 단순한 용돈이 아닌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에 쓸 수 있도록 설계된 정책입니다.

2025년엔 정보력 = 생활력
지금 우리 지역의 청년정책부터 꼭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