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청년마음건강 바우처 신청방법

by 데이지__ 2025. 4. 25.

2025 청년마음건강 바우처 신청방법 & 지원내용 총정리

심리상담, 이제 혼자 끙끙 앓지 말고 정부 지원으로 받아요


💡 청년마음건강 바우처란?

청년마음건강 바우처는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보건복지부 또는 지자체)**가 비용 일부를 바우처 형식으로 지원하는 제도야.

청년들이 느끼는 우울감, 불안, 번아웃, 대인기피, 진로 고민
다양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해 심리상담센터와 연계된 전문가의 상담을 무료 또는 저렴하게 받을 수 있는 기회지.


✅ 지원 대상은?

항목조건
연령 만 19세 ~ 34세 (신청일 기준)
거주지 해당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소득 조건 대부분 무관하지만, 일부 지자체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제한 있음
기타 상담 경험이 없는 청년 우선 지원 (중복 지원 제한 가능)

💰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항목내용
지원금액 1회당 상담비 12만 원 자부담 + 나머지 전액 지원 (회당 57만 원 상당)
지원횟수 기본 5회 (일부 지역은 8회까지 가능)
상담 방식 1:1 대면상담 (심리상담사, 임상심리사,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상담분야 우울, 불안, 스트레스, 진로, 대인관계, 자기이해, 트라우마 등

※ 상담기관은 바우처 협약이 체결된 전문 심리상담센터로 제한됨
※ 일부 지역은 비대면(화상) 상담도 허용


📝 신청 방법

  1.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복지포털 접속
    • ‘청년마음건강 바우처’ 검색
    • 온라인 신청서 작성 + 기본 정보 입력
  2. 사전상담 또는 간단한 심리설문 참여
    • 스트레스·우울·불안 수준 파악을 위한 간단한 검사
  3. 대상자 선정 후 문자 또는 이메일 통보
  4. 선정 후 바우처 지급 → 지정 상담기관 예약 후 사용

📌 지자체별 운영 예시 (2025년 기준)

서울특별시

  • 서울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 연간 1회 신청 가능, 회당 1만 원 자부담, 5회 지원

부산광역시

  • 청년심리정서지원 서비스
  • 만 19~34세, 상담비 전액 무료 (예산 소진 시 마감)

경기 성남시

  • 심리상담 바우처
  • 진로상담 포함, 회당 1만 원 자부담, 6회까지 가능

지역에 따라 예산 조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상반기 신청이 유리해


⚠️ 유의사항

  • 선정 이후 정해진 기간 내에 상담 시작하지 않으면 자동 취소
  • 무단 취소 2회 이상 시 지원 중단 가능
  • 일부 지자체는 자기부담금이 있음 (현장 결제)

🎯 이런 청년에게 추천해요

  • 진로 고민이나 취업 스트레스로 우울하거나 불안한 청년
  • 인간관계, 가족 문제 등으로 상담이 필요하지만 비용이 부담되는 사람
  • 병원 진료 전, 심리상담을 먼저 받아보고 싶은 경우
  • 상담 경험이 처음인 20~30대

요약정리

항목내용
대상 만 19~34세 청년 (주민등록 기준)
금액 회당 자부담 1만 원 + 나머지 바우처 지원
횟수 기본 5회~8회 (지자체별 상이)
신청처 지자체 청년정책과 / 복지포털 / 전화상담센터
유의사항 신청 후 일정 기간 내 이용 필수, 무단 취소 시 패널티 부과

✍️ 마무리 한마디

상담은 약하거나 문제가 있어서 받는 게 아니에요.
마음이 무거운 당신을 위한 휴식 같은 지원입니다.

‘혼자 버텨야 한다’는 생각보다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경험이 더 중요해요.
2025년 청년마음건강 바우처, 지금 나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면 신청해보세요.